반응형

1️⃣ 왜 데이터에도 스토리텔링이 필요한가?

공공데이터는 객관적이고 구조화된 정보이지만,
그 자체로는 대중의 흥미를 끌거나 메시지를 전달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텍스트나 수치 위주의 설명은 이해도가 낮고 기억에도 오래 남지 않죠.

이때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결합한 시각화입니다.
숫자 중심의 데이터를 ‘사건 → 인사이트 → 결론’ 구조로 풀어내면
정보는 메시지가 되고, 독자는 수용자가 아니라 공감하는 관찰자가 됩니다.

실제 구글, 뉴욕타임스, 공공기관의 데이터 저널리즘 사례에서도
스토리텔링형 시각화는 공감과 행동을 유도하는 콘텐츠 방식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공공데이터 역시 ‘차트 몇 개로 끝나는 콘텐츠’에서 벗어나
스토리를 가진 시각 콘텐츠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스토리텔링으로 바꾸는 시각화 포맷 5가지

 

2️⃣ 시각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포맷 ①~③

📘 ① 타임라인 시각화 (시퀀셜 포맷)

활용 예: 감염병 확산 과정, 정책 시행 전후 변화, 역사적 사건

  • 시간 순서에 따라 단계별 변화를 흐름 중심으로 보여주는 포맷
  • 시계열 데이터를 사건 구조로 재배열하여 이야기 흐름을 만들기 용이
  • 꺾은선그래프 + 주석 + 이벤트 아이콘 조합이 효과적

예: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탄소배출량 변화와 정부 대책 타임라인”

 

📊 ② 내러티브 대시보드 (Narrative Dashboard)

활용 예: 도시별 생활 인프라 차이, 복지지표 격차 분석

  • 데이터 중심 대시보드에 텍스트 해설과 시나리오 흐름을 결합
  • 사용자가 데이터를 탐색하면서도 자연스럽게 메시지를 따라가도록 유도
  • 차트 위에 문장형 주석 삽입 or 클릭 시 해설 표시 방식 활용

예: “서울과 부산의 교통 만족도, 어떤 요인이 차이를 만들었나?”

 

🗺️ ③ 스토리형 지도 시각화 (Map-based Storytelling)

활용 예: 재난 발생지, 범죄율 분포, 공공시설 변화

  • 지역 기반 데이터를 지도와 결합하여 직관적으로 전달
  • 스크롤 내릴수록 위치/시점/사건이 바뀌는 스크롤텔링(scroll + storytelling) 형식도 활용 가능
  • 카카오맵/네이버 지도 API, Flourish Map 등에서 구현 가능

예: “3년간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 패턴의 지리적 변화”

 

3️⃣ 시각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포맷 ④~⑤

키워드: 데이터툰, 인터랙티브 카드뉴스, 시각형 콘텐츠

🎨 ④ 데이터툰 (Data Toon)

활용 예: 청년 실업률 변화, 지역 격차 문제 등 민감한 주제

  • 데이터 + 일러스트 또는 캐릭터를 결합한 감성형 콘텐츠 포맷
  • 딱딱한 숫자 대신 스토리/상황 중심 시나리오 구성으로 몰입 유도
  • 사용자는 스토리에 감정이입하며 데이터 메시지를 이해하게 됨

예: “수원에 사는 청년 A의 일주일 지출을 통해 본 물가 인상 체감도”

 

📱 ⑤ 슬라이드 카드 스토리 (Interactive Slide Card)

활용 예: 정책 비교, 제도 안내, 공공서비스 소개

  • 각 카드 한 장에 한 가지 인사이트 or 질문을 배치
  • 사용자가 슬라이드를 넘기며 이야기의 흐름과 데이터의 해석을 따라가게 설계
  • 텍스트 요약 + 시각 요소(아이콘, 그래프, 인포그래픽)로 구성

예: “국민취업지원제도, 한눈에 이해하기 – 신청부터 지원금까지”

 

이러한 시각 포맷은
✔️ 단순한 정보 나열이 아닌
✔️ 이해도, 몰입도, 공유 가능성까지 상승시키는 구조
블로그, 카드뉴스, 인스타그램, 뉴스레터 등에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4️⃣ 공공데이터 스토리텔링 포맷 활용을 위한 팁

마지막으로, 위의 포맷들을 실제 콘텐츠로 만들기 위한 실전 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① 메시지를 먼저 정리하고 나중에 시각화

→ “무엇을 말할 것인가?”가 분명해야 그에 맞는 차트를 고를 수 있습니다.
→ 숫자가 아니라 스토리 흐름이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 ② ‘사용자 참여’를 고려한 흐름 설계

→ 클릭, 드래그, 슬라이드 등 사용자가 직접 탐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넣으면
→ 단순한 읽기용보다 체류 시간과 몰입도가 올라갑니다.

✅ ③ 시각화 유형은 혼합 가능하되, ‘한 화면 = 하나의 메시지’ 원칙

→ 꺾은선+지도+막대 등 여러 그래프를 넣을 수 있지만
한 장 또는 한 화면당 전달 메시지는 하나로 제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④ 서체, 색상, 아이콘은 통일성 있게

→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따라가려면 브랜딩처럼 디자인 톤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특히 색상은 **시각적 위계(중요도 차이)**를 명확히 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