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워드클라우드란 무엇인가?
워드클라우드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텍스트(단어)의 출현 빈도에 따라 글자의 크기나 색상을 달리하여 배열하는 시각화 기법입니다.
이는 복잡한 수치나 표 없이도 한눈에 핵심 키워드와 그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공공데이터 분석, SNS 트렌드 파악, 설문 응답 정리 등에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한 도시의 민원 데이터를 분석했을 때 "소음", "불법주차", "쓰레기", "가로등"과 같은 키워드가
빈도에 따라 크기 다르게 표현된다면, 가장 큰 글자가 해당 지역의 주요 민원 유형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워드클라우드는 숫자 없이도 데이터의 핵심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시각적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블로그나 뉴스 콘텐츠, 카드뉴스, 보고서에 활용하면 시각적 흡입력을 높일 수 있어
애드센스 승인용 콘텐츠에도 매우 유용한 시각화 도구입니다.
2️⃣ 워드클라우드를 만들기 위한 데이터 준비 방법
워드클라우드를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텍스트 데이터 수집과 정제입니다.
수치 기반 데이터가 아닌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분석하고자 하는 주제에 맞는 문장이나 단어 집합이 필수입니다.
공공데이터의 경우, 다음과 같은 자료에서 워드클라우드용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지역별 민원 게시판 내용 (공공데이터포털)
- ✅ 청와대 국민청원 제목 모음 (국가기록원/데이터넷)
- ✅ SNS 수집 데이터 (예: 트위터, 블로그 댓글, 인스타 해시태그)
- ✅ 뉴스 기사 제목/본문 데이터
- ✅ 설문조사 자유응답 데이터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등)
데이터를 수집한 뒤에는 반드시 **불용어(stopwords)**를 제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그리고”, “그는”, “있습니다”, “합니다”와 같은 단어는 분석에 의미가 없기 때문에 제외합니다.
또한 띄어쓰기 오류나 특수문자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명사만 추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텍스트 정제 작업은 엑셀, Python(NLTK, KoNLPy), 또는 무료 웹툴을 통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워드클라우드 만드는 툴과 실전 예시
워드클라우드를 제작할 수 있는 도구는 다양하며, 대부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무료 웹 기반 툴과 사용법, 그리고 실전 예시를 소개합니다.
✅ ① WordArt.com (https://wordart.com)
- 한글 지원,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자유도 높음
- 원하는 단어와 빈도수를 직접 입력 가능
- 폰트, 색상, 모양, 배경까지 자유롭게 설정 가능
- 저장 형식: PNG, SVG, HTML 등
실전 예시
- 주제: “2024년 서울시 시민불편 민원 상위 키워드”
- 데이터: ‘소음’, ‘불법주차’, ‘쓰레기’, ‘공사’, ‘진입로’, ‘가로등’, ‘횡단보도’
- 결과: 가장 큰 단어 ‘소음’, 이어서 ‘불법주차’, ‘쓰레기’ 등이 자동 배치된 클라우드 생성
- 활용: 블로그 포스팅 상단 이미지, 카드뉴스 첫 페이지로 사용
✅ ② MonkeyLearn (https://monkeylearn.com/word-cloud/)
- 자연어처리 기반으로 문장 입력만 하면 자동으로 핵심 단어 추출
- 다량의 텍스트 입력 시 매우 유용
- 클라우드 모양, 색상 변경은 제한적
- 초간단 자동화 워드클라우드 제작에 최적
✅ ③ KoNLPy + Python
- 본격적인 분석이 필요한 경우, Python을 이용해 자연어 처리 후 워드클라우드 생성
- 블로그 댓글 수천 개, 뉴스 본문 등 대용량 텍스트를 정밀 분석 가능
- 출현 빈도에 따라 수치 조정, 형태소 분석 기반의 정확한 단어 분리 가능
- 시각화는 wordcloud 라이브러리 활용
4️⃣ 워드클라우드 활용 시 유의할 점과 블로그 적용 전략
워드클라우드는 시각적으로 아름답지만, 데이터 전달이라는 관점에서는 일방적 오해를 줄 수 있는 구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하며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① 단어 수와 빈도 비율 조정
- 너무 많은 단어를 한꺼번에 넣으면 정보가 흩어짐
- 30~50개 이내의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구성
- 중요 키워드가 실제 비율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지 않도록 정제 필요
✔️ ② 색상 대비와 배경 설정
- 폰트와 배경색이 비슷하면 가독성 떨어짐
- 배경은 흰색 또는 투명, 글자는 대비 높은 계열로 설정
- 블로그에 삽입 시 alt 태그에 핵심 키워드 포함 (SEO 최적화)
✔️ ③ 워드클라우드 해설 문장 필수
- 이미지만 덜렁 올리는 건 SEO 관점에서 좋지 않음
- 예시) “위 이미지에서 보듯이, 서울 시민은 소음 관련 민원을 가장 많이 제기했으며, 이는 주거지역 확장과 건설공사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 ④ 콘텐츠에 녹이는 방식
- 블로그 글 상단 또는 중간에 삽입 후, 본문에서 단어별 데이터 해설
- 카드뉴스, 뉴스레터, 인스타그램 슬라이드 콘텐츠에도 활용
- 인포그래픽 콘텐츠에 삽입 시 첫 화면의 시선 유도용으로 매우 효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