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텍스트도 데이터다: 키워드 분석의 필요성

공공데이터 하면 흔히 수치와 표, 그래프가 먼저 떠오르지만,
의외로 많은 데이터는 텍스트 형태로 존재합니다.
설문조사의 자유 응답, 민원 게시판의 글, SNS의 댓글, 정책 제안 등
이런 비정형 데이터 속에도 수많은 인사이트가 숨어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구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시각화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자주 등장하는 단어를 추출하고,
그 빈도나 맥락을 분석하면 시민의 생각, 관심사,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의 민원 게시판 데이터를 분석해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를 뽑아 시각화하면
어느 지역의 교통 문제, 소음 문제, 주차 문제 등이
주민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이슈인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의 키워드 분석과 시각화 방법
텍스트 데이터의 키워드 분석과 시각화 방법

 

2️⃣ 키워드 분석을 위한 기본 프로세스

텍스트 데이터를 키워드 중심으로 시각화하려면
먼저 다음과 같은 기본 분석 프로세스를 거쳐야 합니다.

  1. 텍스트 수집: 공공데이터포털, 서울열린데이터광장 등에서 CSV 파일 다운로드
  2. 전처리: 줄바꿈, 특수문자, 불필요한 단어 제거 (예: ‘입니다’, ‘그리고’ 등)
  3. 형태소 분석: 단어를 명사/동사/형용사 등으로 분리 (예: KoNLPy, Okt 등 사용)
  4. 빈도 계산: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 20~50개 추출
  5. 시각화용 구조로 변환: ‘단어–빈도’ 구조의 테이블 만들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치화된 텍스트 요약 데이터를 얻게 되며,
이제 이 데이터를 가지고 다양한 시각화 형태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 R, Python, 또는 쉬운 툴로는
WordArt.com, Flourish, Datawrapper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워드클라우드 외에도 막대그래프, 히트맵 등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3️⃣ 키워드 시각화 유형별 예시

텍스트 기반의 키워드 시각화는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① 워드클라우드 (Word Cloud)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단어의 크기로 빈도를 시각화하는 방법입니다.
예: 서울시 민원 데이터를 분석한 워드클라우드 → '주차', '소음', '도로' 등의 키워드 강조
시각적으로 재미있고 블로그 콘텐츠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② 바 차트 (Bar Chart)

단어별 빈도를 수치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워드클라우드보다 정확한 전달이 가능합니다.
예: “자주 등장한 키워드 TOP10”을 막대그래프로 구성 → 수치 비교가 쉬움

③ 키워드 네트워크맵

‘어떤 단어가 어떤 단어와 자주 같이 등장했는가’를 분석해
연관 관계를 시각화하는 방식입니다.
예: '교통'과 함께 자주 등장한 '혼잡', '지연', '불편'을 시각적으로 연결
이는 정책 제안서, 인사이트 리포트 등에 매우 유용합니다.

 

4️⃣ 키워드 시각화 시 유의할 점과 활용 팁

텍스트 기반 시각화는 숫자보다 자유도가 높지만
그만큼 주의할 점도 많습니다.

  • 불용어 제거: ‘하다’, ‘그리고’, ‘때문에’처럼 의미 없는 단어는 제거
  • 동의어 통합: ‘주차장’과 ‘주차’ 같은 단어는 하나로 합쳐야 정확한 분석 가능
  • 단어만 보지 말고 맥락 보기: ‘좋다’라는 단어가 ‘소음이 없어 좋다’인지 ‘소음이 심해 좋지 않다’인지 모호할 수 있음
  • 주제별로 분류: ‘안전’과 ‘교통’ 같은 단어가 묶이는 경우, 주제별 분석이 더 명확한 메시지를 줌

시각화를 마친 후에는
단어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해당 키워드가 왜 중요한지, 어떤 맥락에서 나오는지
간단한 해석을 덧붙여야 콘텐츠의 정보 가치가 높아집니다.

특히 워드클라우드는 블로그/포스터/보고서 디자인에도 잘 어울리며,
사용자 시선을 끌기 좋은 도구이므로,
정보 전달용은 바 차트, 디자인 강조용은 워드클라우드로 활용해보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