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atawrapper란? 시각화 입문자도 쉽게 쓸 수 있는 웹 도구
Datawrapper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에서 차트를 만들 수 있는 무료 온라인 시각화 도구입니다.
복잡한 코드 작성 없이도 엑셀처럼 데이터를 입력하고, 클릭 몇 번만으로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원형 차트, 히트맵, 지도 시각화 등 다양한 형태의 시각화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죠.
특히 초보자에게 추천할 만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라 어렵지 않음
- 한글 지원 가능 (폰트도 깔끔하게 출력됨)
- 회원가입만 하면 무료로 사용 가능
- 생성된 차트를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바로 삽입 가능
- 반응형(모바일 최적화)으로 자동 조정
즉, 디자인 툴을 다룰 줄 몰라도, 데이터만 있으면 누구나 고품질 차트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Datawrapper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2️⃣ Datawrapper 사용 방법: 5단계로 끝내는 기본 시각화
Datawrapper의 기본적인 사용 흐름은 매우 간단합니다.
공공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5단계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회원가입 및 로그인
- https://app.datawrapper.de 에서 이메일로 간단히 가입 가능
- 데이터 업로드
- ‘New Chart’ → 엑셀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넣기
- CSV 업로드 또는 구글 스프레드시트 연동도 가능
- 차트 유형 선택
- 막대, 꺾은선, 파이, 도넛, 테이블, 지도 등 다양한 시각화 유형 중 선택
- 실시간 미리보기를 통해 결과 확인 가능
- 디자인 설정
- 색상, 라벨, 폰트, 범례 위치 등을 설정
- 사용자 맞춤형 타이틀과 설명 입력도 가능
- 게시 및 공유
- 퍼블리시(Publish) 클릭 → 자동으로 생성된 iFrame 코드 제공
- 블로그나 사이트에 그대로 삽입하면 끝!
3️⃣ 예제로 보는 공공데이터 시각화 실습
예를 들어, ‘서울시 미세먼지 농도 변화(월별)’ 데이터를 Datawrapper로 시각화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우선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월별 미세먼지 수치를 다운로드하고,
아래와 같은 표 형식으로 구성합니다:
1월 | 42 |
2월 | 48 |
3월 | 55 |
… | … |
이 데이터를 복사해서 Datawrapper에 붙여넣고, 꺾은선그래프(Line chart)를 선택한 후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완성입니다:
- 라인 색상: 파란색 계열로 눈에 잘 띄게
- 툴팁: 수치를 보여주는 라벨 자동 생성
- 폰트: 한글 제목도 고해상도로 깨지지 않게 출력
- 출처: ‘출처: 공공데이터포털’ 명시 가능
이렇게 만든 차트를 블로그에 삽입하면,
단순히 “1월: 42, 2월: 48…” 나열된 텍스트보다 훨씬 직관적이고 전달력 있는 콘텐츠로 완성됩니다.
4️⃣ Datawrapper 활용 팁: 블로그 콘텐츠 최적화 전략
키워드: 시각화 팁, 차트 배치, 모바일 반응형 구성
Datawrapper를 활용한 시각화는 단순 삽입에 그치지 않고,
블로그 콘텐츠 전체의 구성 전략에 따라 효과가 더욱 커집니다.
다음은 실전에서 적용 가능한 활용 팁입니다:
- 본문 중간에 차트를 삽입하자
- 텍스트 설명 → 차트 삽입 → 요약 코멘트 순으로 구성
- 독자의 흐름을 끊지 않으면서 시각적으로 리듬감 제공
- 모바일 환경에서도 깨지지 않도록 반응형 활용
- Datawrapper의 iFrame은 기본적으로 반응형이므로
블로그 편집기에서 ‘넓이 100%’로 설정하는 것이 좋음
- Datawrapper의 iFrame은 기본적으로 반응형이므로
- 시리즈 콘텐츠로 구성할 경우 차트 스타일 통일
- 같은 색상, 글꼴, 제목 포맷 유지 → 콘텐츠 신뢰도 상승
- 출처 표기 잊지 않기
- 공공데이터 활용 시 신뢰도를 높이고 법적 문제도 방지 가능
- 차트와 함께 ‘해석 문장’을 꼭 넣자
- “2월 미세먼지 농도가 1월보다 6㎍/㎥ 상승했다”와 같이
시각화된 데이터를 독자가 이해하도록 안내하는 문장이 중요
- “2월 미세먼지 농도가 1월보다 6㎍/㎥ 상승했다”와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