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Tableau Public이란? 전문가 퀄리티를 무료로
**Tableau Public(태블로 퍼블릭)**은 데이터 시각화 전문 툴인 ‘Tableau’의 무료 버전으로,
누구나 고급스러운 차트와 대시보드를 제작해 웹에 게시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직관적인 드래그&드롭 방식으로 차트를 만들 수 있고,
엑셀, CSV, 구글 시트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자유롭게 불러올 수 있어 공공데이터 시각화에 특히 강력한 도구입니다.
유료 버전인 Tableau Desktop에 비해 기능이 제한적이긴 하지만,
- 대시보드 구성
- 필터/슬라이서 삽입
- 지도 시각화
- 인터랙티브 차트
등 핵심 기능은 대부분 사용 가능하며, 결과물을 ‘Tableau Public 웹 페이지’에 게시해
블로그나 보고서에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2️⃣ 설치부터 시각화까지: Tableau Public 사용 순서
Tableau Public은 웹 기반이 아닌 로컬 프로그램 형태로 동작합니다.
아래의 절차대로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첫 차트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1] 설치 및 계정 생성
- Tableau Public 공식 사이트(https://public.tableau.com)에서 설치 파일 다운로드
- 이메일로 무료 계정 생성 → 로그인
[2] 데이터 불러오기
- 엑셀, CSV, 구글시트, 통계청 자료 등 다양한 소스를 불러올 수 있음
-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한 파일도 문제없이 인식
[3] 시트 구성 (차트 만들기)
- 좌측 필드에서 원하는 변수를 드래그하여 열(Column)과 행(Row)에 배치
- 차트 유형은 자동 제안되며, 상단에서 원하는 형태로 변경 가능 (막대, 꺾은선, 파이 등)
[4] 대시보드 조합
- 여러 개의 시트를 한 화면에 구성하여 정보 전달력을 높이는 대시보드 기능 활용
- 인터랙티브한 필터, 범례 삽입 가능
[5] 게시하기
- ‘파일 → Tableau Public에 저장’ 클릭
- 자동으로 웹 링크 생성 → 블로그에 iframe으로 삽입 가능
이 과정을 통해 만든 차트는 모바일에서도 반응형으로 표시되며, 상호작용이 가능한 고급형 시각화가 완성됩니다.
3️⃣ 실전 예제: 서울시 인구 변화 시각화 만들기
이번엔 ‘서울시 인구 변화’를 주제로 한 실전 예제를 통해
Tableau Public의 시각화 흐름을 직접 이해해보겠습니다.
- 데이터 준비
-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서울시 연도별 인구 통계 파일(CSV) 다운로드
- 필드는 연도, 남성 인구, 여성 인구, 전체 인구 등으로 구성
- Tableau에서 데이터 불러오기
- 연도 필드를 열(Column)에, 전체 인구를 행(Row)에 배치
- 자동으로 꺾은선그래프가 생성됨
- 시각적 구성 다듬기
- 색상 지정: 연도별 변화 강조를 위해 파랑 계열 선택
- 라벨 삽입: 각 점에 수치 표시
- 제목: “서울시 연도별 인구 변화 (2000~2023)” 삽입
- 웹 게시
- Tableau Public에 저장 → 공유 링크 생성
- 블로그에 <iframe>으로 삽입 시, 독자가 직접 마우스로 연도를 조작하거나 확대 가능
이처럼 간단한 차트 하나도 일반 그래프 툴보다 훨씬 고급스럽고 인터랙티브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콘텐츠 제작을 원하는 블로거에게 Tableau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4️⃣ Tableau Public 활용 팁과 주의사항
Tableau Public을 사용할 때 꼭 알아둬야 할 팁과 주의사항도 있습니다:
- 퍼블릭에 저장된 데이터는 공개된다
- Tableau Public은 무료인 대신 모든 대시보드가 공개 저장됨
- 민감 정보나 비공개 데이터를 시각화할 땐 사용을 자제해야 함
- 반응형 삽입은 <iframe>으로 가능
- 게시 후 생성된 코드 중 iframe 코드를 복사하여
네이버 블로그 HTML 모드에 붙여넣으면 자동 반응형 적용
- 게시 후 생성된 코드 중 iframe 코드를 복사하여
- 인터랙션 효과는 브라우저 성능에 영향
- 오래된 스마트폰 또는 느린 인터넷 환경에선 다소 로딩이 길어질 수 있음
- 가능하면 중요한 정보는 텍스트나 이미지로도 함께 제공
- 폰트와 한글 호환 문제
- Tableau는 일부 한글 폰트가 깨질 수 있음
- 기본 한글폰트(맑은 고딕 등)를 사용하면 문제 없음
이러한 점만 유의하면, 무료 도구로는 최고의 퀄리티를 낼 수 있는 시각화 툴로
블로그, 보고서, 교육자료 등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